본문 바로가기

자궁내막암15

“항암치료 부작용, 이렇게 견뎠습니다 – 진짜 도움이 된 대처법 모음” 항암치료는 암과의 싸움만큼이나 부작용과의 전쟁입니다.먹지도 못하고, 자지도 못하고, 머리카락은 빠지고…하지만 ‘이것만은 꼭!’ 하며 저를 버티게 한 방법들이 있습니다.저처럼 항암을 앞두고 계신 분들, 혹은 지금 항암 중이신 분들에게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이 글을 씁니다.1. 입맛이 사라졌을 때, 나를 살린 음식들항암치료 시작 후 며칠은 물조차 역겨웠습니다.입에 넣으면 토할 것 같고, 아무리 배가 고파도 목을 넘기지 못했죠.그때 저를 살린 음식이 있었어요.바로 방울토마토, 00탕, 그리고 얼린 바나나입니다.입이 마르고 메스꺼울 땐 시원하고 새콤한 게 최고였고,00탕은 떨어진 체력에 영양을 공급해 줬습니다.처음에는 사골국물처럼 맑게 먹었고, 나중에는 양념된 것을 먹었어요.무리해서 먹지 마시고, 한 숟.. 2025. 7. 11.
고마웠다, 세종충남대병원 – 나의 회복을 함께해준 곳 암 진단 이후 처음으로 혼자 병원에 다녀왔습니다.두렵고 설레는 마음을 안고 찾아간 세종충남대병원.그곳에서 받은 뜻밖의 말 한마디가 저를 울게 했습니다.그리고, 긴 시간 함께 견뎌준 내 몸에, 조용히 인사를 건넸습니다.1. 설렘 반, 걱정 반… 혼자 떠난 첫 병원길오늘은 세종충남대병원 여성센터 진료 날.암 진단 이후 처음으로 제가 직접 운전해서 혼자 병원에 다녀온 날입니다. 전날부터 남편과 아들은 걱정이 많았어요.“혼자 괜찮겠어?” “운전은 무리 아니야?”저는 웃으며 말했죠. “잘 다녀올 수 있어. 오히려 설레.” 사실은… 정말 설렜어요.모자 없이 교수님을 뵐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소풍 가는 아이처럼 들떠버렸습니다.새벽에 일어나 옷을 차려입고, 머리도 정갈하게 빗고, 천천히 집을 나섰습니다.거울 속 제 .. 2025. 6. 19.
머리카락이 전해준 희망, 그리고 소풍처럼 다녀온 병원 2025년 5월 28일, 면역항암주사 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은 날. 이전과는 달리 설레는 마음으로 준비한 외출이었다. 머리카락이 다시 자라며 느낀 변화, 간호사 선생님의 축하, 김홍식 교수님의 따뜻한 말 한마디가 마음을 채워준 하루였다. 병원이 아닌, 삶의 작은 소풍 같았던 이 하루의 기록.1. 소풍 가듯 병원으로 향한 날며칠 전부터 무엇을 입을까, 어떤 샌들을 신을까 고민하며 설레는 마음으로 병원 갈 준비를 했다. 처음엔 스스로도 놀랐다. 늘 병원은 무겁고 두려운 곳이었는데, 이번만큼은 마치 소풍을 가는 듯한 기분이었다. 그런 내 마음을 알아채기라도 하듯 날씨도 맑았고, 가벼운 발걸음으로 병원으로 향했다.그렇게 마음이 가벼웠던 이유는, 머리카락이 다시 자랐기 때문이다. 항암치료를 중단한 후 짧게나마 다.. 2025. 6. 4.
학생 간호사와의 특별한 인연, 마지막 밤 편지에 담긴 마음 입원 중 저는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했습니다. 매일 걷고 스트레칭하며 스스로 몸을 움직였고,그 시간이 저에게는 유일한 회복의 길이었습니다.그러던 중, 딸을 떠올리게 하는 학생 간호사 한 분과 인연을 맺게 되었습니다.인터뷰를 요청한 그녀에게 저의 마음을 담아 진솔한 이야기를 들려드렸고, 퇴원 전날 그녀가 전해준 손 편지는제게 큰 감동과 위로가 되었습니다.이 글은 병원 생활에서 만난 소중한 인연과, 그 마지막 밤의 따뜻했던 기억에 대한 이야기입니다.1. 딸을 떠올리게 한 학생 간호사바이탈 체크를 해주시던 조용한 학생 간호사 선생님을 처음 만났을 때, 문득 제 딸아이가 떠올랐습니다.알고 보니 청주 출신이라고 하여 더욱 마음이 갔는지도 모르겠습니다.며칠 뒤, 그녀가 조심스럽게 다가와 저에게 말씀하셨습니다.“혹시.. 2025. 5. 23.